※문화 유산과 기록 유산을 혼돈 하지 마십시요※
★유네스코 등재 우리나라 기록유산★
1.훈민정음
세종 28년(1446)에 정인지 등이 세종의 명을 받아 설명한 한문해설서를 전권 33장
1책으로 발간했는데, 이 책의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했다.
▲훈민정음해례
본. 한글창제가 상형원리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명확히 밝히고 있다.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현존본은 1940년경 경북 안동 어느 고가에서 발견된 것으로서 국내에서 유일한 귀중본이다.
한글과 같이 일정한 시기에 특정한 사람이 이미 존재한 문자에 직접 영향을 받지 않고 독창적으로 새 문자를 만들고 한 국가의 공용문자로 사용하게 한 일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일이다.
새 문자에 대한 해설을 책으로 출판한 일 역시 역사적인 일이었다.
특히,
문자를 만든 원리와 문자사용에 대한 설명에 나타나는 이론의 정연함과 엄정함에 대해서 세계의 언어학자들이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다.
유네스코에서 문맹퇴치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세종대왕상을 주는 것은이 책의 문화 사적 의의를 나타낸다.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돼 있으며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으로 등록됐다.
|
2.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의 시조인 태조부터 철종까지 25대 472년간
(1392~1863)의 역사를 연월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책이며 총 1,893권 888책으로 돼있어 가장
오래되고 방대한 양의 역사서이다. ▲조선왕조실록 중 중종실록. 500여 년간의 왕정에
대한 기록이 하나의 체계 아래에 기록되었다는 사실은 동아시아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드문 일이다 조선
시대의 정치, 외교, 군사, 제도, 법률, 경제, 산업, 교통, 통신, 사회, 풍속, 미술, 공예, 종교 등 각 방면의 역사적
사실을 망라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그 유례가 없는 귀중한 역사 기록물인 조선왕조실록은 그 역사기술에 있어 매우
진실성과 신빙성이 높은 역사기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와 함께 일본, 중국, 몽고 등 동아시아 제국의
역사연구, 관계사 연구에도 귀중한 기본자료이기도 하다. 정족산본 1,181책, 태백산본 848책, 오대산본
27책, 기타 산엽본 21책을 포함해서 총 2,077책이 일괄적으로 국보 제 151호로 지정돼 있으며,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됐다. |
3.직지심체요절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은
백운화상이 1372년(고려 공민왕 21)에 원나라에서 받아온
불조직지심체요절 1권의 내용을 대폭 늘려 상·하 2권으로
엮은 것으로, 역대 고승들 간의 문답과 경전을 엮어 학승
(學僧)들이 최고과정에서 배우던 교재였다.
▲직지심체요절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세계 최고 금속 활자제작의 근거를 인정 받은 동시에
원산지와 소유국이 다른 약탈 문화재들도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에 등재될 수 있다는 좋은 선례를 남겼다. 현재는
하권만이 유일하게 프랑스 국립도서관 동양문헌실에 특별
귀중본으로 보관돼있다. 하권은 39장으로 이뤄져 있는데,
첫째 장은 없고 2장부터 39장까지 총 38장만이 보존되고
있다. 책의 끝부분에는 간행에 관계된 기록이 있어 1377
년 청주 흥덕사에서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1450년 독일의 쿠텐베르크가 발명한 금속활자보다 약
73년이나 앞선 것임을 증명하고 있다. 직지심체요절은
금속활자를 이용해 인쇄술을 보다 편리하고 경제적이
며 교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줬다. 이 모든 것은
책의 신속한 생산에 공헌했다. 또한, 활자 인쇄술에
적합한 기름먹을 발명하는 계기가 됐으며, 한국이
혁신한 실용적인 활판 인쇄술은 동양 인쇄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 유럽등지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01년
9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됐다
|
4.승정원일기
승정원은 조선 정종대에 창설된 기관으로서
국가의 모든 기밀을 취급하던 국왕의 비서실이라 할
수 있는 곳이다. 승정원일기는 일기 형식으로 조선 건국
초부터 정리됐으나, 조선전기분(朝鮮前期分)은 임진왜란
등으로 대부분 소실됐고 현재는 3,243책만이 남아 있다.
▲정치, 경제, 외교, 문화, 법제, 사회, 자연 현상,
인사, 국왕과 관료의 동정, 국정 논의가 광범위하게
기록돼있어 한국학 연구의 보고라 할 수 있는 승정원
일기 국사연구 뿐만 아니라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외교,
문화, 군사등 모든 학문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인 승정원일
기는 조선왕조 최대의 기밀 기록인 동시에 그 사료적 가치
에 있어서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비변사등록과 같이 우리
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에 자랑할 만한 자료다. 특히,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조실록을 편찬할 때 기본 자
료로 이용했기 때문에 실록보다 오히려 가치 있는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원본 1부밖에 없는 귀중한 자료로
국보 제303호(1999년 4월 9일)로 지정돼 있다. 이는 세계
최대 및 1차 사료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1년 9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됐다
|
5.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
고려대장경판(팔만대장경)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정확하고,
가장 완벽한 불교 대장경판으로 산스크리트어에서
한역된 불교대장경의 원본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고려대장경판은 이미 사라진 초기 목판제작술의 귀
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는 한편, 고려시대의 정치, 문화,
사상의 흐름과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역사기록물이기도 하
다. 인도 및 중앙아시아 언어로 된 경전, 계율, 논서, 교리
및 불교와 관련된 역사적 기록물을 집대성해 한역한 내용
과 더불어 중국어가 원문인 일부 문헌을 선정하여 수록하
고 있다. 해인사에 소장되고 있는 고려대장경판과 제경판
87,000여장의 목판은 1098년부터 1958년까지의 오래 시간
에 걸쳐 완성된 경판들로써 국가제작판과 사찰제작판으로
나뉜다. 국가제작판은 고려대장경으로 81,258판 5,200여
만자에 달하고, 사찰제작판은 5,987판이다. 고려대장경
판은 이미 사라진 초기 목판제작술의 귀중한 자료로 평
가받고 있는 한편, 고려시대의 정치, 문화, 사상의 흐름
과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역사기록물이기도 하다. 경판
표면에는 옻칠을 하여 글자의 새김이 760년이 지나도
록 생생한 상태로 남아 현재까지 인쇄할 수 있을 정도
이다. 해인사 고려대장경판과 제경판은 2007년 6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
6.조선왕조 의궤
의궤는 국가 중요 행사를
행사 진행 시점에서 작성한 조선왕조의 기록물이다.
같은 유교문화군에 속하는 중국, 일본, 베트남 등에서
는 의궤의 체계적인 편찬이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조선왕조 의궤는 600여년전의 생활상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희소성을 가지고 있다.
총 3,895 여권의 방대한 분량에 이르는 의궤는 조선시대
600여년에 걸친(1392-1910) 왕실의 주요한 의식이 시기별,
주제별로 정리돼있어서, 조선왕조 의식의 변화 뿐 아니라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를 비교연구 및 이해하는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귀중한 자료다. 특히, 반차도, 도설
등 행사모습을 묘사한 시각 콘텐츠는 오늘날 영상자
료처럼 당시 모습을 입체적으로 생동감 있게 보여준
다. 이런 시각중심(visual-oriented)의 기록유산은
뛰어난 미술장인과 사관의 공동작업을 통해서만
만들어질 수 있다는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조선왕조 의궤는 2007년 6월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
7.동의보감
1613년 한국에서 집필된 의학적인 지식과 치료기술에
관한 백과사전이다. 왕의 지시 하에 여러 의학 전문가들과
문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허준이 편찬한 동의보감은 동아시
아 의학의 발전 뿐 아니라, 많은 부분에 영향을 줬다.
▲우리나라 최초의 의학백과사전인 동의보감은
동양의학의 총체적 접근법을 담고 있는, 매우 귀중한 가치
를지니고 있다. 예를들어, 19세기까지는 유래가 없었던 예
방 의학과 함께 국가적으로 이뤄지는 공공 보건정책에 대
한 관념을 세계 최초로 구축했다. 한국적인 요소를 강하게
지닌 동시에, 일반 민중이 쉽게 사용가능한 의학지식을 편
집한 세계 최초의 공중보건의서라는 점을 인정받은
동의보감은 2009년 7월 31일 마쓰우라 유네스코 사무청장
이 바베이도스(Barbados) 브리지타운(Bridgetown)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9차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회의의 권고
를 받아들여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승인했다. 전문가들은
동의보감이 질병 치료와 관련해 정신적·심리적 측면을
강조하는 동양의학의 ‘총체적 접근법’을 담고 있어, 단순
한 기술적인 가치를 넘어 사회적·철학적 가치가 인정된
다고봤다. 아울러 초간본 동의보감이 이상적인 보존
환경에 놓여 있다는 점도 높이 평가했다.
|
◆일본, 중국 등과 기록(등재) 유산 비교◆
세계 주요 선진국의 기록유산을 살펴보면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이 발견된다. 바로 일본과 중국이다.
의아할지 모르지만 일본은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된 것이 현재 아무것도 없다.
이미 기원전부터 기록문화가 시작되어서 유구히
내려오고 있는 중국도 등재된 것은 5개뿐이다.
그것도 기본적으로 청조 이후의 것들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기록문화 보호의식 및 수준이 얼마나
뛰어난 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