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관리/건강관리

쿠바 100세 장수인 식단에서 찾은 건강 비결

도솔9812 2013. 10. 1. 18:13

나이 들어도 식지 않는 음악에 대한 열정을 보여주었던 '부에나비스타소셜클럽', 마이클 무어 감독의 '식코' 속 무상의료의 천국, '체 게바라'로 대표되는 혁명의 국가이자 낙후된 사회주의 국가, 그리고 시가와 커피의 나라… 쿠바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들이다. 하지만 직접 가보니 예상하지 못했던 또 다른 쿠바를 만났다. 바로 '100세 건강 장수인'의 나라인 쿠바이다.





↑ [헬스조선]헬스조선 DB

장수가 명예이고 축제인 나라

쿠바는 '장수를 권하는 나라'였다. 국가 차원에서 국민들이 오래 살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장수하는 사람에게는 축하 파티도 열어 준다. 100세 이상이면 생일날 아침, 어김없이 국가차원의 생일 파티가 열린다. 또 그들은 자신이 얼마나 건강한지, 어떻게 이렇게 건강할 수 있는지 그 비결에 대해 인터뷰도 한다. 이 행복한 광경은 텔레비전을 통해 전 쿠바에 생중계로 전해진다. 장수가 이들에게는 엄청난 축제이자, 영광스러운 명예로 여겨지고 있었다.

그렇다면 과연 이들은 얼마나 오래 살고 있나 싶어 지난달 초 국제구호개발기구 월드비전이 발표한 '건강불평등 격차' 데이터를 들춰봤다. 세계에서 가장 나이 많은 생존자로 기네스협회에 등록된 사람도 쿠바사람(126세, 로드리게스)이다. 평균 평균수명은 쿠바 남자 74.85세, 여자 79.43세로 미국 남자 75.15세와 여자 80.97세와 거의 비슷하지만 쿠바엔 100세 이상 장수인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쿠바 당국은 평균 수명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있다. 월드비전 보고에 따르면 '쿠바는 앞으로 평균수명이 82세에 이른 일본, 싱가포르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 날도 있을 것이라고 장담하고 있다.





↑ [헬스조선]헬스조선 DB

저녁을 가장 많이, 짜고 푸짐한 식탁

내심 쿠바인 식단을 보면 장수비결을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실제 그들과의 식사 자리에서 기자의 기대는 산산히 부서졌다. 그들의 생활을 따라가 보니, 그들은 사실상 하루 3끼를 꽉꽉 채워 많이 먹는 대식가였고, 무엇보다 저녁 식사의 양이 가장 많았다. 특히, 이들의 문화는 저녁에 가족과 담소를 나누다가 일찍 자는 분위기다. 우리나라처럼 밤늦게까지 한강변에서 운동을 할 수 있는 분위기도 아니고 TV 보기나 컴퓨터를 밤새하는 환경도 아니다. 땀을 많이 내는 더운 나라의 특성상 음식은 짜고, 달았다. 에스프레소 한잔에 기본적으로 설탕 8~10스푼 이상을 넣고 마신다. 럼주에 콜라를 넣어 마시는 럼콕을 우리나라 사람들이 반주하듯 늘 곁들인다. 당연히, 쿠바인들의 비만은 심각한 사회 문제다. 우리나라의 노인복지회관과 같은 기관인 '콘술토리오'에서 근무하고 있는 홀리오 쎄사르 노인의학 전문의는 "지난 10년 동안 쿠바인의 비만율이 3배 이상 증가했다"고 그 심각성을 전했다. 도대체 이런 식습관을 가진 나라에서 100세 넘은 장수인들이 어떻게 나오고 있는 것인지 의아할 정도였다.





↑ [헬스조선]헬스조선 DB

장수비결 1 유기농 로컬푸드와 꽁그리밥

그런데, 좀 더 그 이면을 들여다보니 좀 특별한 점이 보였다. 그들의 식단은 생선이나 돼지고기, 치킨 등을 구운 것과 밥, 유까(우리나라의 감자) 정도였다. 그런데, 밥에는 항상 우리나라의 팥도 아니고 콩도 아닌데 모양은 비슷한 검붉은색의 '블랙빈'이 들어 있다. 멕시코 강낭콩의 일종이라고 했다. 맛은 단맛이 났다. 흰 밥일 경우에는 블랙빈을 팥죽처럼 만든 '꽁그리(Congri)'를 얹어 먹었다. 블랙빈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혈당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어 비만이 걱정되는 쿠바 사람들이 늘 즐겨 먹는다고 했다. 항상 곁들이는 토마토, 아보카도 등의 요리하지 않은 생채소들도 이색적이었다.

유통이 원활하지 않은 점도 사실상 건강 비결 중 하나였다. 이들의 식탁에는 사실상 어쩔 수 없이, 요즘 국내에서 열풍이 불고 있는 '로컬푸드(local food)'를 먹어야 했다. 도시농업과 유기농업이 상징인 국가인 만큼 자신의 집 뒤 '파티오(텃밭)'에서 가꾼 채소들을 먹고 있었고, 항상 시내, 시 근교에서 키운 야채들을 식탁에 올리고 있었다. 공무원을 하다가 은퇴한 아순시온(57)은 "하바나 시민들은 토요일이면 각지에서 경작한 채소들을 가지고 올라온 트럭들이 모여 형성되는 주말시장에서 한 주일 먹을 음식을 사가기 때문에 항상 신선한 유기농 음식을 먹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인스턴트 식품이 거의 없다는 점도 건강에 있어서는 좋은 점이라고 쿠바인들은 입을 모았다. '보데가(국영배급소)'나 '오르가노포니코(유기농 농장)'에서 살펴본 먹거리 중에는 통조림, 햄 등을 쉽게 찾아보기 힘들었다.

장수비결 2 국가에서 나눠주는 '삐삐지'와 '아벡솔'

특이할 만한 것은 쿠바는 각 가정마다 가정주치의가 있는데, 이들은 혈관 건강이 걱정되거나 의심되는 위험군 환자에게 쿠바산 사탕수수 왁스 추출물로 만든 '삐삐지(PPG)'라는 약을 무상으로 지급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폴리코사놀'이라는 기능성 원료가 식약처로부터 건강가능식품으로 인정받아 판매되고 있다. 쿠바에서는 폴리코사놀 용량을 20mg까지 늘려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 약으로 처방하고 있다. 노인복지관에서 만난 후안리꼴라스(81)는 "10년 전에 콜레스테롤 수치가 너무 높아서 삐삐지를 먹기 시작했는데, 지금은 정상으로 돌아와서 용량을 줄여서 먹고 있다"며 "은퇴 후에 집에만 있으면서 우울했었는데, 삐삐지를 먹으면서부터는 에너지가 넘쳐서 노인복지관에 와서 많은 사람들도 만나고 활동적으로 지내고 있다"고 말했다.

벌집 밀납에서 추출한 알코올 성분으로 만든 '아벡솔'도 이들의 장수비결 중 하나였다. 아벡솔은 위 질환을 개선시켜주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있는데, 쿠바에서는 무상으로 나눠주긴 하지만 역시 처방이 필요한 약이다. 4대가 함께 모여 살고 있는 파올라(106)도 10년 넘게 삐삐지를 먹었으며, 지금은 아벡솔을 6개월간 먹고 있다. 100살의 차이가 나는 손녀와 같이 정원도 거닐고, 놀아 줄 정도로 건강한 상태다. 임플란트를 하고도 소화가 잘 안 돼 한동안 고기와 생선을 못 먹었었다는 파올라는 "위가 좋아지고 소화가 잘 되니 무엇보다 거친 음식을 먹을 수 있어서 좋다"며 "아무리 오래 살고 건강해도 부드러운 음식만 먹어야 하는 생활은 너무 힘겹고 우울했다"고 말했다. 삐삐지와 아벡솔 모두 쿠바 정부에서 국민 건강을 위해 쿠바국립과학연구소를 통해 오랜 연구를 거쳐 만든 약들이다.

쿠바에 머물렀던 8월 13일은 쿠바의 전설이라고 불리는 '피델 카스트로'의 87번째 생일이었다. 관절과 시력 건강에 문제가 있다고 전해지기는 하지만, 아직 건강하게 카스트로가 살아 있는 것에 대해 쿠바인들은 자랑스러워 하며, 함께 축배를 권했다. 경계심 없이 누구에게나 쉽게 다가서고, 끊임없이 말하는 낙천적인 그들의 성격 또한 장수 국가의 비결이 분명하리라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