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관리/건강식품

생강 한 쪽이 산삼보다 낫다

도솔9812 2017. 10. 10. 14:00

식품과 의학의 도를 말하다/생강


생강 한 쪽이 산삼보다 낫다


 


  최진규/약초학자, 한국토종약초연구학회 회장


 



옛날, 어느 고을에 한 장수촌이 있었다. 그 마을에는 특별히 오래 사는 한 집안이 있었는데 가장 나이가


많은 노인이 120그 노인의 아들은 102, 그 노인의 아들은 70, 그 노인의 아들은 40, 그 아들은


 22, 그 아들은 3살로서 모두 6대가 한 집에 살고 있었다.


이 마을에서 멀지 않은 곳에 한 부자가 살았다. 돈이 몹시 많아서 아무리 돈을 많이 써도 창고에는 돈과


 재물이 가득 쌓여 있고 또 아들이 현청의 관리인 까닭에 부와 권력을 한꺼번에 누리고 있었다. 부자는


돈과 권력을 지닌 채로 건강하고 오래 살고 싶었다.


어느 날 부자는 보물을 많이 갖고 오래 사는 집을 찾아가서 가장 나이가 많은 노인한테 말했다.


당신의 집안은 대대로 장수한다고 들었소. 그 비결을 좀 가르쳐 주시오. 돈은 얼마든지 드리겠소.”


노인은 고개를 가로저으며 대답했다.


우리 집안에 전해 오는 특별한 장수비결 같은 것은 없습니다. 돌아가십시오. 나는 지금 밭에 일하러


가야 합니다.”


노인은 괭이를 들고 밭으로 일하러 가버렸다. 부자는 몹시 실망하여 보물을 갖고 집으로 돌아왔다.


부자는 오래 사는 노인이 장수비결을 일부러 가르쳐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고 그 날 있었던 일을


편지로 써서 현청에 관리로 있는 아들한테 보냈다. 편지를 받아 본 아들은 몹시 화가 났다. 아들은 그 지방


을 다스리는 하급관리한테 반드시 그 집안의 장수비결을 알아오라고 명령을 내렸다. 하급관리도 장수


비결이 탐이 나서 곧 나이가 가장 많은 노인을 관청으로 불러들였다.


너희 집안에 대대로 내려오는 장수비결이 있다고 들었다. 그 비결이 무엇인지 가르쳐 줄 수 있겠느냐?”


우리 집안에 장수비결 같은 것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찌하여 너희 집안은 대대로 장수를 누리고 다른 집안은 그렇지 못한가?”


잘 모르겠습니다. 수명은 하늘이 정해 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뭐라고! 비결을 말하지 않으면 목을 베어 버리겠다. 빨리 그 비결을 말하라!”


정말로 우리 집안에는 감추어 둔 장수비결 같은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 집안에서는 모든 가족이


날마다 무즙과 생강즙을 마시고 고기를 먹지 않으며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열심히 일하고 마음


편하게 사는 것 말고 다른 비결은 없습니다.”


관리는 화를 벌컥 내면서 말했다.


나는 너보다 늘 좋은 음식을 먹고 편하게 사는데 너희들보다 장수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이냐? 꾸물


거리지 말고 감추어 둔 비결을 말하라.”


목이 달아난다고 하더라도 없는 것을 가르쳐 드릴 수는 없습니다. 제발 분노를 풀고 저를 돌려 보내주


십시오.”


관리는 몹시 화가 나서 노인을 감옥에 가두었다. 나이가 120살이 된 노인이 감옥에서 고초를 겪다 보니


한 달 뒤에 감옥에서 죽고 말았다. 그 소식을 전해 들은 노인의 가족들은 다음과 같은 노래를 지어서


관청의 벽에다 붙였다.


 




  


건강하고 오래 살고 싶으면


밤에 자기 전에 무즙을 마시고


아침에 일어나서 생강즙을 마셔야 하네.


고기와 생선을 먹지 말고


채소를 많이 먹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저녁에 일찍 자며


많이 걷고 열심히 일해야 하네.




 


관리는 그 노래를 몇 번이나 읽어보았지만 그 뜻을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었다. 관리는 의사를 불러서


함께 장수마을로 가서 조사를 해 보기로 하였다. 관리는 먼저 장수하는 집안의 이웃을 찾아갔다.


저 집안 사람들이 왜 장수하는지 그 이유를 아는가?”


잘 모릅니다. 운이 좋았겠지요.”


저 집안에서는 무엇을 먹고 사는가?”


우리와 꼭 같은 것을 먹습니다. 다만 고기와 생선을 전혀 먹지 않고 날마다 밤에 무즙을 마시고 아침에는


 생강즙을 마십니다.”


저 집안 사람들은 언제 자고 언제 일어나는가?”


해가 저물면 저녁을 먹고 어두워지면 잠자리에 들고 아침에 해가 뜨면 일어나서 마을을 3-4바퀴 돌고


 와서 생강즙을 마시고 반 시간 뒤에 아침밥을 먹습니다.”


관리가 이웃사람들의 말을 들어보니 노래에 적힌 내용과 이웃 사람들의 증언이 같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고 감옥에서 죽은 노인한테 죄가 없다는 것을 온 고을에 알리고 노인의 가족들한테 상금을 후하게


 내렸다. 그리고 온 고을에 사는 백성들한테 무와 생강을 먹고 장수하는 방법을 널리 알려 실천하게


하였다. 그 뒤로 그 고을에서는 백 살이 넘도록 오래 사는 사람이 많이 나왔다.





낡은 살을 없애고 새살이 돋게 하는데 제일


 


우리 조상들은 생강을 모든 독을 푸는 해독제로 아주 중요하게 여겼다. 우리 조상들이 만든 약 중에


강부탕(薑附湯)이라는 약이 있는데 생강과 부자(附子)를 같이 넣고 달인 탕약이다. 강부탕은 몸을 따뜻


하게 하고 면역력을 높이는데 아주 효과가 좋은 약이다. 부자에는 독이 아주 많이 들어 있다. 부자를


먹으면 온 몸의 혈관이 터져서 죽는다. 옛날에 임금이 죄를 지은 신하한테 내리던 사약(死藥)이 부자였다.


그러나 부자를 생강과 같이 달이면 부자의 독성이 줄어들고 성질이 순해져서 약성이 아주 좋아진다.


부자의 열독(熱毒)을 생강이 중화하는 것이다.


생강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맵다. 몸을 따뜻하게 하고 염증을 삭이며 면역력을 늘려 준다. 모든 전염병


이나 감기 같은 병은 체온 저하로 면역력이 약해지는 것이 원인이다. 체온이 낮아지면서 면역력이 약해


지고 그 틈을 타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가 몸속에 침입하여 병이 나는 것이다. 생강은 몸을 따뜻하게 하여


 면역력을 늘리고 온갖 질병을 예방한다.


생강은 온갖 약재의 약성을 서로 조화하고 순하게 하고 독을 푸는 기능이 있다. 생강은 성질이 뜨거운


부자를 만나면 부자의 열을 내려 주고, 설탕처럼 성질이 차가운 것을 만나면 그 차가운 성질을 없애 준다.


이를테면 반하(半夏)라는 약초가 있는데 독이 아주 많다. 콩알 만한 반하 두세 개를 먹고 목숨을 잃은


사람도 있다. 반하는 담()을 삭이는 데 아주 좋은 약이다. 반하를 달일 때 생강을 같이 넣고 달이면


반하의 독성은 없어지고 약성만 남는다. 또 반하를 먹고 중독되었을 때 생강을 먹으면 해독할 수 있다.


생강은 반하의 독성 뿐만 아니라 식중독, 복어독, 뱀독, 지네독, 옻독 같은 온갖 종류의 독을 풀 수 있다.


임산부한테는 마땅히 쓸 만한 약을 찾기 어렵다. 산후(産後)에 임신중독으로 인해 몸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고 눈이 안 보일만큼 부었을 때에도 생강 한 가지만을 물로 달여서 먹으면 부은 것이 금방 내린다.


다른 어떤 약을 쓰는 것보다 효과가 빠르다. 예전에 아이들이 제대로 먹지 못해서 단백질 부족으로 부항이


들어 피부가 누렇게 뜨고 퉁퉁 부었을 때에도 생강탕을 열 첩만 먹으면 씻은 듯이 부기가 내리는 것을


보았다.


생강은 동상을 치료하는 데에도 효과가 아주 좋다. 발에 동상에 걸리면 겨울철보다는 이른 봄철 추위가


 풀리기 시작할 때 가려움과 통증이 더 심해진다. 발이 몹시 부어올라서 구두나 고무신 같은 것을 신을


수 없고 슬리퍼를 신어야 한다. 발을 손으로 한 번 누르면 쑥 들어간 손자국이 한 시간 이상 남아 있고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는다. 이런 증상에도 생강탕을 먹으면 일주일 안에 동상이 낫고 부기가 싹 빠진다.


또 여름철에 상한 음식이나 찬 음식을 먹고 체한 것이나 식중독, 황달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독버섯을


먹고 중독되어 혼수상태가 되었을 때에도 억지로 입을 벌리고 생강즙을 몇 숟가락 떠 먹이면 곧 정신이


돌아온다.


홍역으로 인해 열이 치솟을 때에도 생강이 좋은 치료약이다. 이열치열(以熱治熱)이란 말대로 열로 열독을


 푸는 것이다. 홍역으로 인해 열이 40도 넘게 올라갈 때에도 생강탕을 먹이면 열을 세기 전부터 열이 내리기  시작한다.


생강은 번식력이 아주 뛰어난 식물이다. 손가?? 한 마디만한 뿌리 한 조각을 밭에 심어 두면 옆으로 한 마


디씩 한없이 뻗어나가서 큰 밭 하나를 모두 채울 수 있다. 이처럼 생신력이 강하고 잘 뻗어나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생강은 거구생신(去舊生新) 곧 낡은 살을 없애고 새살이 돋아나게 하는데 제일 좋은 약이 된다.


옛날에는 여자들한테 유종(乳腫)이 많이 생겼다. 유종으로 인해 젖통이 곪아서 고름이 가득 차 있을 때 칼로  은 부위를 째면 고름이 한 종지 넘게 나온다. 그러나 새살이 살아나오고 상처가 아물어서 흉터가 남지


 않아야 다 나은 것이다. 고름은 빠져 나왔지만 새살이 잘 살아나오지 않을 때 새살을 잘 돋아나오게 하는


 약으로 생강탕이 제일이다.


낫이나 칼에 베어 살이 떨어져 나갔을 때에도 생강탕을 먹으면 새살이 잘 돋아나오고 흔적이 남지 않는다.


옛날 부모님이 중병에 들었을 때 효성이 지극한 자식들이 엉덩이나 허벅지의 살을 한 웅큼 베어서 국을


 끓여 드리는 일이 더러 있었다. 그럴 때 살을 베어내고 나서 새살을 빨리 돋아나게 하는 약으로 생강을


달여 먹었다.


생강은 날씨가 더운 열대지방이 원산지다. 천 년쯤 전에 중국을 거쳐서 우리나라에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한다. 생강은 우리나라 땅에 적응하여 원산지나 중국에서 나는 것보다 약성이 훨씬 좋아졌다.


토종 생강은 충청남도 서산에서 주로 나는데 맛이 지나치게 맵지 않고 성질이 순해서 오래 먹어도 몸에


전혀 피해를 끼치지 않는다. 우리 조상들은 토종 생강을 약생강이라고 불렀다. 온갖 종류의 염증과 감기,


소화불량 등에 탁월한 치료효과가 있기 때문이었다.


지금 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강은 대부분이 중국에서 들여 온 개량종이다. 개량종은 자잘한 것도


엄지손가락만큼 굵고 토종 생강은 굵은 것도 손가락만큼 자잘하다. 토종 생강은 소출이 개량종의 삼분지


일밖에 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농가에서 개량종 생강을 심는다. 그러나 개량종 생강은 맛이 너무 독해서  많이 먹을 수도 없고 오래 먹으면 몸에 탈이 난다.





 


생강은 추위와 바람, 습기를 소탕한다


 


토종 생강은 아주 훌륭한 염증 치료약이다. 온갖 염증에 다 잘 듣는데 특히 소화기관의 염증에 좋다.


위염이나 위궤양에는 생강을 연하게 달여서 한 번에 한 숟갈씩 먹으면 잘 낫는다. 한꺼번에 많이 먹지 말고


 조금씩 자주 먹어야 한다. 생강을 연하게 달여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심심할 때마다 한 숟갈씩 먹으면 뱃속


이 따뜻해져서 소화기능이 좋아지고 위염이나 위궤양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낫는다.


겨울철에 추위를 타지 않고 몸을 훈훈하게 하려면 토종 생강으로 생강즙을 만들어 먹는 것이 좋다. 생강을


 얇게 썰어 꿀이나 설탕을 생강 부피의 3분지 1쯤 넣고 버무린 다음 젓가락으로 몇 번 저어주면 삼투압


작용으로 인해 생강 속에 있는 즙이 빠져나와서 바닥에 흥건하게 고인다. 이렇게 만든 생강즙은 병에 담아


두고 수시로 조금씩 먹는다. 맛이 좋아서 아이들도 잘 먹는다. 몸을 따뜻하게 하고 기운을 나게 하며 면역


력을 키우고 병원균과 바이러스를 퇴치하는데 아주 좋은 약이다.


생강즙을 날씨가 아주 추운 날 산에 갖고 가서 찻숟가락으로 하나씩 먹으면 금방 몸이 후끈후끈하게 더워


지고 황소처럼 힘이 난다.


즙을 빼내고 남은 생강조각은 하나씩 꼭꼭 씹어서 수시로 과자처럼 먹는다. 그런대로 맛이 좋다. 병에 담아


두고 젓가락으로 하나씩 꺼내어 한 쪽씩 먹으면 맛도 좋고 몸이 따뜻해지며 기운이 난다.


옛날, 추운 겨울철에 궁궐이나 현청 문앞에서 보초를 서야 하는 사령(司令)들이 생강즙을 먹지 않으면


 몸이 춥고 시리고 떨려서 문지기 노릇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생강즙을 약한 불로 오래 졸이면 생강엿이 된다. 옛날에 허약하고 기력이 약한 사람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기력회복제로 생강엿보다 더 나은 것이 없었다. 생강엿은 한겨울철 몹시 추울 때 산에 올라갈 때


추위를 이기게 하고 지치지 않게 하는 데에도 아주 좋은 효능이 있다. 산에서 모닥불도 못 피우고 뜨거운


물도 못 마시고 추워서 덜덜 떨고 있을 때 생강엿을 한 숟갈 먹으면 몸이 난로처럼 더워져서 추위를 모르게


되고 기운이 샘솟듯이 솟아난다. 한 마디로 말하면 생강은 추위와 습기, 바람기를 소탕하는데 제일 좋은


 약이라고 할 수 있다.


생강엿은 당뇨병 환자들한테 생기기 쉬운 저혈당증에도 최고의 명약이다. 당뇨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갑자기 저혈당증이 왔을 때 10분 안에 사탕 같은 것을 먹지 않으면 목숨을 잃을 수 있다. 당뇨병 환자들이


생강엿을 갖고 다니다가 저혈당 증세가 나타날 때 먹으면 즉시 저혈당 증세가 사라질 뿐만 아니라 차츰


당뇨병도 호전된다. 토종 생강을 조금씩 먹으면 당뇨병을 뿌리뽑을 수 있다. 생강은 가장 훌륭한 당뇨병


치료약이기도 하다.


 


생강을 먹으면 부정한 기운이 침범하지 못한다


 


생강은 특별한 향기와 매운 맛을 지니고 있다. 음식에 맛과 향기를 더해 준다. 그래서 주방에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양념이다. 요리를 할 때 생강을 넣으면 매운 맛과 향기가 음식 재료 속으로 스며들어 맛과


향기가 좋아진다. 생선이나 고기, 채소를 요리할 때 생강을 짓찧어 넣거나 채로 썰어 넣으면 음식의 맛을


훨씬 돋우어 줄 뿐만 아니라 온갖 독을 풀어 준다. 또 생강은 비린내와 노린내를 없애 주므로 생선을 요리할  때 없어서는 안 되는 양념이기도 하다.


생강은 날로 먹거나 익혀 먹을 수도 있고 소금이나 식초에 절이거나 즙을 내거나 가루로 만들거나 술로 담


그거나 말려서 먹을 수도 있다.


생선을 요리할 때 생강이 없으면 안 되고, 고기를 요리할 때 간장과 된장이 없으면 안 된다는 말이 있다.


아침에 일어나서 생강 세 조각을 먹는 것이 산삼을 먹는 것보다 낫다는 말도 있다.


중국 명나라의 약초학자 이시진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이른 아침에 일어나서 먼 길을 가거나 산에 오르는 산꾼들이 생강 한 조각을 입에 물고 출발하면 안개와


이슬로 인한 질병을 막을 수 있고 부정하고 나쁜 기운들이 몸속으로 침입하지 못한다.’


생강의 효능에 대해 다음과 같은 말이 전해진다.


겨울에 생강만 있으면 추위와 바람을 두려워 할 필요가 없다. 겨울에 무를 먹고 여름에 생강을 먹으면 어떤  병도 없고 나쁜 일도 생기지 않으며 장수할 수 있다.’ 


몸이 차가워져서 체질이 허약해지면 찬바람(風寒)이 몸속으로 침입하기 쉽고 이와 함께 온갖 세균에 감염


되기 쉽다. 병원균에 감염되면 열이 나고 기침이 나며 머리가 아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를 상풍(傷風)


감기라고 하는데 몸 속에 있는 찬바람을 몰아내면 감기가 물러간다.


생강을 먹고 나면 땀이 난다. 그것은 생강 속에 들어 있는 강랄소라는 성분 때문이다. 강랄소는 심장과


혈관을 자극하여 심장의 박동을 빠르게 하고 혈관을 확장하며 혈액순환을 빠르게 한다. 생강을 먹으면 몸


이 후끈후끈하게 열이 나게 되고 혈액순환이 좋아지면서 동시에 땀구멍이 열려서 땀이 많이 나온다. 땀은


열을 내릴 뿐만 아니라 병원균으로 인해 생긴 독소를 몸밖으로 내보낸다. 곧 생강은 바람과 추위, 그리고


세균으로 인한 독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데 좋은 약이다.


 



생강으로 건강을 지킨 공자와 소동파, 서하객




25백 년 전 공자가 편찬한 <논어(論語)>-향당 편에 불철강식(不撤薑食)’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끼니


 때마다 반드시 생강을 잊지 말고 먹어라.’ 는 뜻이다.


공자가 멀리 여행을 갔다가 어느 집에서 음식을 대접받았다. 공자는 생선의 색깔이 변한 것을 보고 하인들


에게 상을 물리라고 명령했다. 다만 생강을 함께 먹는 사람만은 그 생선을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


공자는 끼니 때마다 생강을 조금씩 먹었고 그 덕분에 73살까지 건강하게 오래 살았다. 그 때부터 민간에서


 생강을 조금씩 먹으면 의사가 필요 없다는 말이 생겨났다.


송나라의 문호 소동파(蘇東坡)가 항주(杭州) 지사가 되어 내려갔을 때 서호 호숫가에서 있는 정자사라는


 절에서 나이가 80살이 넘은 한 노승을 만났다. 노승은 40여 살 정도 밖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젊어 보였고


 몸이 매우 강건했으며 눈이 초롱초롱하게 빛이 났다. 소동파는 그 노승한테 늙지 않고 오래 사는 비결을


물었다. 노승은 생강을 40년 동안 먹은 덕분에 늙지 않을 수 있었다고 대답하였다. 소동파는 그 노승한테


서 생강으로 연년익수(延年益壽)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처방을 얻었다.


생강을 갈아서 즙을 내어 항아리 속에 넣어 가라앉힌다. 윗층에 있는 노랑색 물은 걷어내어 버리고 바닥에


가라앉은 희고 진한 즙을 모아 그늘에서 말려 가루로 만든다. 이 가루를 강유(薑乳)’라고 부른다. 생강 한


근에서 한 냥쯤의 강유가 나온다. 강유에 밀가루를 3배쯤 넣어 골고루 섞은 다음 수증기로 쪄서 떡을


 만든다. 이 떡을 날마다 빈속에 한두 개씩 먹는다. 오래 먹으면 온갖 병이 물러가고 수명이 늘어난다.’


서하객(徐霞客)은 중국 역사상 가장 걸출한 여행가이다. 그는 중국의 명산대천을 30년 동안을 걸어서 여행


하면서 중국 기행 문학 중에서 최고 걸작으로 꼽히는 <서하객유기(徐霞客遊記)>라는 책을 남겼다. 서하객


이 여행을 하는 동안 가장 위험한 것은 질병에 걸리는 것이었다. 서하객은 괴나리봇짐 속에 반드시 생강을


넣어서 갖고 다녔다. 그는 날마다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생강 한 조각을 입에 넣고 껌을 씹듯이 씹어서 먹는


버릇이 있었다.


서하객은 산속이나 들에서 노숙을 해야 할 때가 많았다. 노숙을 할 때마다 서하객은 생강탕을 끓여 마셨기


 때문에 감기를 비롯한 어떤 병에도 걸리지 않고 건강을 지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