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을 수도 나쁠 수도… 지방은 계륵 같은 존재
식량 공급이 불안정할 때 복부지방은 비상시 생명을 지켜주는 마지막 보루였고, 혹독한 추위에선 두꺼운 피하지방층이 생존 여부를 결정짓는 방패 구실을 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얼굴이 번지르르하다’ ‘배에 기름깨나 끼었다’ ‘기름진 음식’ ‘부잣집 맏며느리 감이다’ 등의 표현에서도 알 수 있듯 지방은 없어서 못 먹는 선망의 영양소였으며, 살찐 사람은 누구나 닮고 싶은 동경의 대상이었다. 그런데 불과 얼마 전부터 상황이 급변하기 시작했다. 이런 흐름의 변화는 물론 일정 정도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지만, 지방은 그렇게 일방적으로 매도당할 만한 대상이 결코 아니다. 지방은 건강의 적이며, 지방 섭취는 비만으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단순한 흑백논리가 지배하던 시절이다. 과자든 음식이든 무지방(fat-free)이라는 표시만 있으면 그것만으로도 건강 제품이란 인식이 팽배했다. 그러자 당시 음식물에서 지방을 대체하던 당분과 정제 탄수화물이 오히려 더 심각하게 비만을 조장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바야흐로 지방의 재발견이 시작된 것. 여기엔 로버트 앳킨스(Robert Atkins·1930~2003)라는 한 의사의 영향력도 한몫했다. 그는 1972년 고단백질,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법을 표방한 책 ‘다이어트 혁명’을 출간한 후 지속적으로 제한 없는 지방 섭취를 주장했다. 지금은 우리나라도 지방은 무조건 나쁜 영양소라는 편견에서 벗어난 상태지만, 여전히 가까이하기엔 거리감이 느껴지는 대상인 것만은 사실이다. 그런 만큼 평가도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린 상태다.
영어로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TG)라고도 부르는 이 지방은 화학적으로 극성을 띠지 않기 때문에 이런 이름으로 불린다. 중성지방은 그 영어 명칭이 나타내듯, 구조상 글리세롤이란 물질을 축으로 지방산 3개가 결합돼 만들어진다(그림1). 그런데 중요한 것은 바로 이 지방산의 형태에 따라 좋은 지방과 나쁜 지방으로 나뉜다는 것이다. 갑자기 화학식이 나오면 두통이 생기는 분도 있겠지만, 지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최소한으로 설명할 테니 참고 견뎌보자. 포화지방은 동맥경화증 등 우리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주범이다. 육지에 사는 동물의 지방(동물성지방) 대부분이 여기에 속하고, 식물성 성분으로는 우리나라 라면에 많이 사용하는 팜유 등의 열대성 열매 기름이 있다. 이 때문에 식품 포장에 ‘식물성 기름 사용’이란 표시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몸에 나쁘지 않은 지방이라고 오해해선 안 된다. 반면 불포화지방은 물고기, 견과류, 식물 등에서 추출하는 기름을 말한다. 콜레스테롤을 낮춰주고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등 몸에 좋은 필수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좋은 지방으로 분류한다. 2006년 외국의 일부 여자 모델이 그 후유증으로 사망했던 것처럼 지나칠 경우 치명적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 일반 운동 애호가의 경우 목표 체지방량을 ‘표’에서의 피트니스 수준으로 정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김원곤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 wongon@plaza.snu.ac.kr
|
'건강관리 >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춘,장수의 비밀...핵산식사법 (0) | 2013.07.31 |
---|---|
노인 회춘 비약 (0) | 2013.07.31 |
허리아픈 병에 대하여 (0) | 2013.07.29 |
의학정보 가정의원 (0) | 2013.07.29 |
매일매일 젊어지는 방법 (0) | 201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