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 차리는 법 차례는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에 지내는 간소한 약식 제사다. 차례는 명절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 기제를 지내는 조상의 신주나 지방 또는 사진을 모시고 지낸다. 차례는 기제를 지내는 장손의 집에서 지내는 것이 원칙이나 지방이나 가문의 전통에 따라 한식이나 추석에는 산소에서 지내기도 한다. 또한 축문을 읽지 않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고 하나, 지방이나 지방전통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설날 차례는 기제사 때와 거의 같지만 제사 밥(메)과 국(냉) 대신에 떡국을 올리고 추석에는 햅쌀과 송편을 빚어 햇과일과 함께 올힌다.
차례상의 순서 맨 앞줄에 과일, 둘째 줄에 포와 나물, 셋째 줄에 탕, 넷째 줄에 적과 전, 다섯째 줄에 쌀밥과 갱을 차례대로 놓는다
차례 지내는 순서 1. 영신(제사 때 신을 맞는 절차) 먼저 대문을 열어 놓는다. 제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위에 제수를 진설한다, 지방을 써 붙이고 제사의 준비를 마친다.
2. 강신(신의 강림을 내리게 한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끊고 앉아 향로에 향을 피운다. 집사가 제상에서 잔을 들어 제주에게 건네주고 잔에 술을 조금 따른다. 제주는 두 손으로 잔을 들고 향불위에서 세 번 돌린 다음,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는다. 빈 잔을 집사에게 건네주고 일어나서 두 번 절 한다.
3. 초헌(제사 때 첫 번으로 술을 신위에 올린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한다. 집사는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따른다. 제주는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부은 다음 두 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잔을 받아 떡국 앞에 놓고 제물위에 젓가락을 올려놓는다. 제주는 두 번 절을 한 후 제자리로 돌아간다.
4. 참신(신주에 절하여 뵘)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모든 참석자가 일제히 절한다 남자는 두 번 절하고 여자는 네 번 절한다.
5. 아헌(두 번째 술잔을 올림)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원래는 주부가 올린다. 주부가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주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올린다.
6. 종헌(세번째 잔, 마지막 잔 올림) 아헌자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아헌 때와 같이 한다. 잔은 7할쯤 부어서 올린다. 두 번 절 한다.
7. 첨작(종헌 드린 잔에 다시 술을 가득 채우는 일) 첨작은 유식이라고 하는데 초헌자(제주)가 다시 신위 앞에 굻어 앉아 다른 술잔을 들고 우집사가 술잔에 술을 부어주면 좌집사가 받아 종헌자가 올릴때 채우지 않은 잔에 세 번 나누어 가득 채운다.
8. 삽시정저(제사 때 숟가락을 떡국에 담그는 일) 떡국에 숟가락을 담그고 시접위에 젓가락을 걸친다. 상시정저가 끝나면 제주는 두 번, 주부는 네 번 절 한다.
9. 합문(문을 닫는다는 뜻으로 병풍으로 가리거나 문을 닫는다) 참석자 일동이 방에서 나와 문을 닫는 것을 말하는데, 대청일 경우에는 뜰아래로 내려와 부복하고 조용히 3,4분간 기다린다. 제주가 세 번 기침하면 모두 일어선다.
10. 계문(합문 한 것을 여는 일) 제주가 앞에 서서 기침을 하고 문을 열고 들어간다.
11. 철시 복반(수저를 제자리에) 신위께서 제물을 다 드셨다고 생각되면 떡국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어 제자리에 놓는다.
12. 사신(고인의 영혼을 전송함) 참석자가 신위 앞에 일제히 두 번 절 한다. 이로서 제사를 올리는 의식 절차는 모두 끝난다.
13. 철상(음식상을 거두어 치움) 모든 제수는 뒤에서부터 물린다, 다시 말하면, 수저와 떡국그릇, 술잔등을 먼저 거두고, 차례대로 뒤에서부터 거두어 드리면 된다.
14. 음복(제사를 마치고 제물을 나누어 먹음) 참례한 자손들이 제수를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음덕을 기린다.
*.각 지방과 가문의 풍습에 따라 그 예법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