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추 [立秋]'
24절기 가운데 대서(大暑)와 처서(處署) 사이에 드는 절기로,
순서로는 열셋째에 해당한다.
양력으로는 8월 8∼9일경, 음력으로는 7월 초순이며,
태양의환경이 135°에 달하는 날이 바로 입기일(入氣日)이다.
동양의 역(曆)에서는 이날부터 입동(立冬) 전까지를 가을로 친다.
여름이 끝나고 가을로 접어들었다는 뜻으로,
아직 늦더위가 기승을부리기는 하지만,
밤이 되면 비교적 선선한 바람이 일기 시작한다.
여름의 흙일도 끝나고 이제 서서히 가을채비를 준비해야 할 시기이다.
옛날 중국에서도 입추의 15일간을 5일씩 3후(三候)로 나누어
① 서늘한 바람이 불어 오고
② 이슬이 진하게 내리며
③ 쓰르라미가 운다고 하였다.
농촌에서는 참깨·옥수수를 수확하고,
일찍 거두어들인 밭에는김장용 배추와 무를 심기 시작한다.
태풍과 장마가 자주 발생해 논에서는 병충해 방제가 한창이고,
태풍으로 쓰러진 벼를 일으켜 세우느라 분주하다.
이 무렵부터 논의 물을 빼기 시작하는데,
1년 벼농사의 마지막 성패가 이 때의 날씨에달려 있다고 할 만큼
중요한 시기이다.
아직 남아 있는 늦여름의 따가운 햇살을 받아 벼가누렇게
익어야하는시기로이 때부터 처서 무렵까지는
비가 내리지 않아야 풍작을기대할 수 있다.
또 바다에서는 달과 태양이 일직선상에 놓여 밀물과 썰물의 차가
가장 크게 벌어지는 사리 현상이 발생해 서남해안 지역의저지대가 침수,
농작물이 해를 입기도 한다.입추 무렵의 풍속으로는 '기청제(祈晴祭)'가 있다.
예부터 입추무렵은 벼가 한창 여무는 시기이기 때문에
비가 내리는것을 가장 큰 재앙으로 여겼다.
해서 각 고을에서는 비가 내리지 않고 맑은 날이 계속되기를바라는 뜻에서
하늘에 기청제를 지냈는데,성문제(城門祭)·천상제(川上祭)라고도 한다.
즉 비가 닷새또는 보름 동안 계속해서 내리면 조정이나고을에서
비가멈추게 해 달라고 제를 올렸던 것이다.
봄·여름에 가뭄이 계속되면서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을 때 비를 내려달라고
지내는 기우제(祈雨祭)와는 반대 성격의 제사이다.
입추란
태양의 황도(黃道)상의 위치로 24절기 중 열세 번째 절기입니다,
양력으로는 8월7일~ 8일 무렵이고,
음력으로는 7월인데,태양의 황경(黃經)이 135도에 있을때이며
이제 여름이 지나고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절후이며이날부터
입동(立冬)전까지가 가을입니다,
고려사(高麗史)에는
초후(初候)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고 차후(次候)에는
흰 이슬이 내리고말후(末候)에 쓰르라미가 운다.”라고
하였으며이것은입추가 지난 후의 계절의 변화를나타낸 말 입니다,
고려사에는 “입하(立夏)부터입추까지
백성들이조정에 얼음을 진상하면 이를대궐에서 쓰고,
조정 대신들에게도나눠주었다.”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때는 얼음이 귀했을 터인데 지방에는 지금의 냉장고와 같은석빙고가 있어그래도
고관대작(高官大爵)들은여름에 얼음을 맛볼 수 있었나 봅니다,
이제 매미 소리도 그들의 생의 마감을예감 하는지힘차지 못 합니다,
이 한 여름 살기위해 몇년을 땅속에서 굼벵이로버텨온그들의
삶이눈물 겹기만 합니다,
회원님들 즐거운 나날 보내시고 풍성한 가을 맞으시길 기원 합니다,
- 옮긴글 -
|